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와 미래도시융합공학과 교수이며 스마트그린시티랩(Smart Green City lab)을 운영하고 있다. 국가 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장이며 대통령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과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UN 지속가능개발목표 선도거점대학 대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용산 도심재생 계획을 총괄하고 있다.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2012 여수 세계엑스포 매스터 플랜과 국가 과학비지니스벨트(IBS) 사업의 기획설계 등 다수의 도시설계 프로젝트의 매스터 플래너로서 주도적인 참여를 해왔다. UN Habitat와 함께 베트남 다낭시 첨단산업지구 매스터 플랜과 “경제사회계획”을 수립하였고, 러시아 이루크츠크 주의 바이칼 스마트시티 개념설계를 주도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국가로부터 근정포장을 수여 받기도 했다.
학술지 논문
(2020)
도시개발사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국제기구와의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스마트도시·건축학회 논문집.
1,
1
(2020)
Correlation between advanced technology and urban activity in public spa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
11
(2020)
혁신지구의 스마트시티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 보스턴, 런던, 뉴욕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도시연구.
21,
3
(2020)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단지 재건축 방안 연구.
도시설계.
21,
4
(2020)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utilizing city characteristics-the focused on suwon hwaseong fortress of jeongjo strateg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
4
(2019)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현황과 비주거 용도지역의 비교분석을 통해 본 도시계획 실효성 검증 연구.
도시설계.
20,
3
(2019)
서울시 주차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
서울시 주차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국내외 주차 스마트 기술/서비스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39,
1
(2019)
도시 내 창업 활성화를 위한 메이커 스페이스 계획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5,
2
(2019)
서울 저층주거 밀집지역 공공생활지원시설 설정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5,
2
(2018)
녹색도시지수 핵심지표의 개발도상국 적용가능성 연구- 베트남 다낭시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설계.
19,
2
(2017)
창업자들의 창업공간 구성과 선호에 관한 연구 - 창업전문가 인터뷰 및 창업자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8,
6
(2017)
장기공공임대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 개발 연구- 서울시 영구임대주택과 공공임대주택(50년)을 중심으로 -.
주택도시연구.
7,
1
(2017)
건축물 연면적 현황과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와의비교 분석을 통한 물리적 중심지 검증 연구 -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8,
1
(2017)
스마트폰을 활용한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효율화 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
1
(2016)
스마트시티의 주민참여형 안전도시 계획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고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9,
5
(2016)
스마트시티의 재난안전을 위한 사회기술기반의 주민 자조(自助) 방안 고찰- 일본 가마이시시(釜石市) 교훈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9,
4
(2016)
스마트시티의 재해회복력 향상을 위한 고찰- 동일본 대지진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9,
4
(2016)
광역 도시계획 시설의 조성을 위한 국내외 도시 간 협력 방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20,
2
(2016)
Waste Management in the Age of Alternative Energ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Development.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