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WSCE ‘우크라 도시재건’ 컨퍼런스 개최(김도년 교수)
2023-09-072023년 9월 6일 '2023 월드스마트시티엑스포’에서 우크라 도시재건 컨퍼런스 개최(기조연설 건축학과·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김도년교수)
2022-10-21제3회 대한민국 도시포럼 운영위원장인 김도년(성균관대 건축학과·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교수) 국가스마트도시위원장은 10월 19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3회 대한민국 도시포럼 학술대회’ 기조 강연에서 “도시는 각 시대의 문제 해결과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축적된 지식과 새로운 기술을 지혜롭게 활용해 다음 세대의 도시로 진화하는 스마트도시화 과정을 거쳐 왔다”면서 “지난 산업혁명 시대 발생한 도시 문제를 당대의 스마트도시 모델인 ‘근대도시 모델’로 해결하였듯이 이번 세기에 인류가 겪고 있는 도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열쇠 또한 새로운 스마트도시 모델이다.”고 말했다. 이날 ‘제3회 대한민국 도시포럼 학술대회’에서는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학생들이 참가해 지속 가능한 도시의 전환을 주제로 마스터플랜, 모듈러공법, 도시평가지수, 스마트도시 교육 등 다양한 키워드로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2022-05-27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최은홍 학생, 2022 스위스 제네바 국제발명전시회 “은상” 수상 일반대학원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최은홍 학생이 4월 21일 한국발명진흥회가 개최한 ‘2022년 스위스 제네바 국제발명품전시회 시상식'(한국발명진흥회 19층 대회의실)에서 은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최은홍 학생(스마트건설IT연구실, 지도교수 박승희)이 창업한 소셜벤처기업 주식회사 마이렌은 ‘AI 딥러닝 기반의 실시간 모빌리티 안전 관제 솔루션’ 기술을 바탕으로 ▲실시간 운전 데이터 수집 ▲운전 습관 측정 ▲실시간 API 기반의 사전 과실 비율 제공 ▲도로 포트홀 분석 등이 연계된 기술과 동시에, 특허 13건으로 지식재산권 측면에서도, 기존의 e-Call과 차별성 및 경쟁우위를 구축하였다. 최은홍 학생은 “이번 수상의 계기가 학교에서의 실무 교과목 및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안전 솔루션을 어플로 압축시킨 결과인 것 같다”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교통 사고 및 2차 사고에 대한 사고 신고 서비스의 개선을 위하여, 쾌적한 도로 환경에 앞장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네바 국제발명전시회는 국제발명품전시조직위원회(Salon International Des Invention)가 주최하고 스위스 연방정부, 제네바 주정부 및 시의회 및 세계지식재산기구가 후원하는 국제 최대 규모의 국제발명전이다. 해당 발명대회는 세계발명가들의 교류와 화합의 공안으로 발명 자체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특허 기술과 기술이동에 관한 정보, 발명 기술의 상품화 등을 모두 포괄하는 세계적인 국제 전시회이다.
K-water 대학생 아이디어 공모전 '최우수상(1위)' 수상(전주환 석사과정)
2022-05-13'키르기스스탄 이식쿨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석사과정 '전주환' 학생 '최우수상(1위)' 수상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전주환 학생(건축도시공간연구실, 지도교수 김지엽)이 한국수자원공사가 주최한 ‘이식쿨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최우수상(1위)을 수상했다. 한국수자원공사와 ‘아시아 국회의원 물 협의회(AAWC)’, 주한 키르기스스탄 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이번 공모전은 ‘키르기스스탄 이식쿨 지역의 개발여건(공항, 철도, 관광자원 등)을 고려한 지역 활성화 기본구상 및 개발 가능지의 복합개발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시’를 주제로 개최되었다. 중앙아시아 북부에 위치한 키르기스스탄의 이식쿨(Issyk-Kul)은 풍부한 수량의 이식쿨호(湖) 등 생태환경을 포함하고 있는 개발 잠재력이 높은 지역으로 거론되고 있으나 환경오염의 우려 또한 공존하는 지역이다. 전주환 학생은 ‘S02’라는 팀명으로 참가해, 이식쿨 서안에 위치한 발릭치市 남부의 미개발지를 대상으로 지역자원분석을 바탕으로 한 통합물관리,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 관광 및 친환경 산업단지 조성을 제안하였으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전반적으로 완성도 높으며 전문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았다. 한편, 이번 공모전에 참가한 건축도시공간연구실은 김지엽 교수의 지도 하에 건축 및 도시 관련 법·제도연구와 도시계획·도시설계·도시재생 관련 프로젝트를 통한 스마트 도시 등 미래 건축 및 도시 모델 개발 관련 연구를 수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