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및 도시 관련 법·제도
스마트 도시 등 미래 건축 및 도시 모델 개발
도시계획, 도시설계, 도시재생 관련 프로젝트
학력
(J.D.) Pace University School of Law
(MsUP) Columbia University 건축도시대학원
(MLA)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BS)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약력/경력
2009.07-현재 미국변호사(뉴욕주)
2020.12-현재 북촌 도시재생사업 총괄코디네이터
2020.03-현재 스마트도시건축학회 제도위원회 위원장
2019.03-현재 서울시 건축위원회 /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2019.04-현재 대한건축학회 건축법규위원회 위원장
2017.12-현재 경기도 도시재생자문단, 위원
2013.04-현재 평택 고덕신도시 총괄계획가(M.P.) 위원
2009.09 - 2019.08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2000.03 - 2003.06 해군 시설장교
1997.12 – 1999.03 서울연구원 위촉연구원
1995.02 - 1997.11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원
학술지 논문
(2022)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인허가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8,
1
(2021)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필지특성에 따른 개별건축물 신축 효과 연구 - 서울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완료 구역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
8
(2021)
이주자택지의 원주민 재정착 효용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6,
2
(2021)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공공보행통로 및 보차혼용통로의 법적 성격과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
2
(2020)
Flexible Zoning and Mixed Use in Seoul, Korea.
Architectural Research.
22,
4
(2020)
혁신도시가 지역의 경제적 자족성에 미친 영향 분석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7,
6
(2020)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individual building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focused on neighborhood regeneration districts in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
6
(2020)
저층주거지 재생사업에 따른 개별건축물의 건축행위 분석- 서울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6,
6
(2020)
Austerity in reverse: Korea, capabilities, and crisis.
International Planning Studies.
25,
1
(2019)
Development of an Augmented Reality Tour Guide for a Cultural Heritage Site.
ACM JOURNAL ON COMPUTING AND CULTURAL HERITAGE.
12,
4
(2019)
유형별 슈퍼블록이 가로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5,
10
학술회의논문
(2021)
서울시 지하연결통로의 유형별 특성분석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2020)
한국 물류 노드와 도시 공간 구조의 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대한민국
전시/발표회
(2021)
부산항 북항2단계 사업화전략 수립을 위한 아이디어 개념구상 국제공모.
대한민국,
(2021)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작품집.
대한민국,
Sungkyunkwan University(SKKU)
(16419)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 TEL 031-290-7550
COPYRIGHTⓒ2020 SUNGKYUNKWAN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